10 573

Cited 0 times in

보건 교육 방법별 접근이 여고생의 약물사용 지식 및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two educational approaches regarding drug use on the change of knowledge and attitudes among the girl's high school students 
Authors
 권인숙 
Issue Date
1991
Description
보건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오늘날은 약의 오용과 남용의 시대라고 일컬을 정도로 사람들은 자신의 고통, 불안, 긴장, 통증을 해결하기 위하여 약을 만능으로 알고 사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향락문화와 함께 각종 마약류가 사회저변으로 확산되면서 청소년층까지 폭넓게 침투되어 가고 있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교육 제도상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약물남용이나 비행의 취약성이 있는 학생일수록 보호 받기보다는 반대로 빠져들 기회에 더 노출되고 있다. 그러므로 올바른 약물사용 및 오·남용 예방교육에 관한 특별한 관심과 배려가 요구되며 학교교육에서 별도의 약물교육 프로그램을 두어 예방교육을 실시하거나 정규교과 과목의 내용속에 약물의 올바른 사용에 관한 부분이 한 영역을 차지할 수 있도륵 제도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 연구는 여고생들에게 약물 오·남용에 관한 교육을 통하여 약물사용에 관한 지식 및 태도를 변화시켜 궁극적으로는 약물사용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는가를 규명하기 위하여 시도된 연구이다.

연구방법은 서울 시내의 비슷한 지역에 속한 2개의 인문계 여자고등학교에서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 군의 대표성을 유지하기 위해 인문계 여자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고 실험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 다른 학교의 학생들을 2개반씩 선정하였다. 제 1 실험군 학교에서는 교련수업 중 교련교사에 의해 목적을 명확하게 설명해 주고 사전 질문지가 배부되어 회수한 후 바로 약물사용 교육을 위한 V.T.R.을 시청토록 하였는데 시청시 교사의 개입이 없었다. 제 2 실험군에서는 교련수업중에 교사에

의해 사전 질문지를 조사한 후 교육이 실시 되었다. 교육방법은 slide를 보면서 관련된 설명 Tape을 듣고 난 후 slide의 내용과 관련된 교련교사의 설명이 있었고, 설명이 끝난 후 학생들의 질문등을 받아 반응을 확인하는 교육을 실시 하였다.

자료수집은 4월 15일부터 4월 30일까지 2주에 걸쳐서 실시 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제 1 실험군에서 104부였는데 응답이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한 100부를 연구에 사용하였고 제 2 실험군에서 100부가 회수되어 이를 모두 사용 하였으며, 추후조사에서는 제 1 실험군에서 105부, 제 2 실험군에서 110부가 회수 되었으나 사전에 수집된 자료와 고유번호가 맞는 것만을 자료처리시 사용 하여 총 400부가 분석시에 사용 되었다.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다. 분석을 위해 실수와 백분율, Chi-square test, paired t-test, t-test, AN0VA검증을 실시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학생들이 최근 3개월동안 가장 많이 사용했던 약물은 '감기약'으로 전체 학생의 68%가 복용을 하였고, '소화제'가 60%, '연고제'가 40.5%, '진통제'가 36.5%, '드링크'가 33.5%, '영양제'가 29%, '해열제' 20%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알콜'은 전체 응답자 중에서 16명, '각성제(타이밍)'는 9명, '수면제', '흡입제'는 단 1명만이 사용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2. 제 1 가설 "교육을 받기전에 비하여 교육후에 지식의 점수가 높을 것이다"에 있어서는 교육전 지식 점수와 평균이 29.l850이었고, 교육 실시 후에는 36.8150으로 지식 점수의 개선이 이루어지므로써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t=-11.88, p<.001).

따라서 제 1 가설은 지지되었다.

3. 제 2 가설 "교육을 받기전에 비하여 교육후에 태도의 점수가 높을 것이다"에 있어서는 교육전의 태도 점수의 평균이 57.6131이었고, 교육 실시후에는 평균 59.7538로 태도 점수의 개선이 이루어짐으로써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4.84, p<.001). 따라서 제 2 가설도 지지되었다.

4. 제 3 가설인 "slide의 내용을 교사가 설명한 교육군이 V.T.R.시청만으로 교육받은 군보다 지식변화의 점수가 높을 것이다"에서는 약물사용에 관한 지식의 점수에 있어서 제 1 실험군(V.T.R.시청)의 경우 교육전·후에 지식점수는 평균 7.5500점이 증가되었고, 제 2 실험군(slide 교육)에 있어서는 평균 7.7100점이 증가 되었다. 그러므로 두 실험군은 평균의 차이로만 본다면 slide를 교사가 설명한 교육군이 V.T.R.을 시청한 교육 군보다 지식의 향상이 조금 더 있었다고 할 수 있겠다. 그러나 두 실험군에 있어서 평균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지 못하므로(t=-1.12, p>.05) 제 3 가설은 지지되지 못하였다.

5. 제 4 가설인 "slide의 내용을 교사가 설명한 교육군이 V.T.R.시청만으로 교육받은 군보다 태도 변화의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제 1 실험군(V.T.R. 교육)에서 교육 전·후의 평균의 차이가 1.4242이며 제 2 실험군(slide 교육)에서는 2.8500으로 두 군의 평균의 차이만으로는 slide를 교사가 설명해준 교육군이 태도의 변화 점수가 더 증가를 보이고 있으나 두군의 평균 차이를 검증해 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없었다(t=-1.62, p>.05). 따라서 제 4 가설도 지지되지 못하였다.

결론적으로 약물에 관하여 제작된 자료를 이용하여 수업중에 행하여진 교육이 여고생의 약물사용에 관한 지식과 태도에 있어서 향상을 가져다 주었다. 또한 교육 방법별 효과의 비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못하였지만 V.T.R.만을 시청한 집단보다 slide를 교사가 설명한 집단에서 약물사용에 관한 지식과 태도의 향상이 더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약물사용에 있어서 올바른 결정을 내릴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신의 건강을 스스로 관리할 수도 있는 약물교육이 정규수업 중에 제도적으로 체계를 갖추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이 개선되어야 하며 학생수준에 맞는 효과적인 교

재개발 및 교사들의 약물에 대한 재교육이 필요하다고 본다.







[영문]

This quasi-experimental study was designed to test the effects of educational approaches to the drug abuse and misuse on the students'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drug use behavior.

The subjects for the first experimental group were a group of one hundred and four high school students enrolled in girls' high school located in Seoul and for the second experimental group, one hundred high school students.

For the first experimental group,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learly given by the teacher and a pre-test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Directly after the collection of the pre-test questionnaires, audio-visual education (by V.T.R.) was

done without any intervention by the teacher. For the second experimental group,pre-test questionnaires were followed by a slide presentation education at program.

This group was allowed to watch the slide while listening to relevant an explanation through a tape-recorder and was given an explanation on the contents of the slides by the teacher. Students were allowed to ask questions to make sure that

they understood.

Data for this study were gathered from April 15th to April 30th, 1991. Even though one hundred and four subjects were chosen for the first experimental group, four subjects who did not completely fill in the questionnaier were excluded from the data analysis. For the second group, one hundred questionnaires were all included in the data analysis. For the post-test questionnaires, the one hundred and five questionnaires for the first experimental group, and the one hundred and ten questionnaires for the second group were collected However, the data were analyzed on the total member of questionnaires in which there was a complete set of pre-test and post-test questionnaires.

For the data analysis, quantities and percentages were used to exa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aspects and types of drug use. A Chi-square test was used to determine similarities between the experimtental group. A paired t-test was used to verify the hypothesis on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drug use after the

education on drug use for the experimental group. A t-test was used to verify the hypothesis given about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drug use according to the two educational approach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drugs which were most used by students for three months(January lst to March 30th, 1991) were cold medicines(68%), digestants(60%), topical agents(40.5%) and analgesics(36.5%). On the other hand, the illegal use of drugs was limited to alcohol(16 students), stimulants(9 students), only one students used rubber cement.

2. The first hypothesis, "the scores on the knowledge scale of received education will be higher" was supported. After receiving education, the average score of the pre education was 29.1850, and that average score of post education was 36.8150.

The results showed the experimental group had more changes on the knowledge scale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two groups(t=-11.88, p<.001). Therefore, this hypothesis was supported.

3. The second hypothesis, "the scores of the attitude scale of received education will be higher" was supported. After receiving education, the average score of the pre education was 57.6131, and that average score of post education was 59.7538.

The results showed the experimental group had more changes on the attitude scale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two groups(t=-4.84, p<.001).

Therefore, this hypothesis was supported.

4. The third hypothesis, "the scores of the knowledge scale of the group which was given a teacher's explanation on the content of the slide presentation will be higer than the group educated only through the video presentation" was not supported.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average of 7.7100 in the scores of the

knowledge scale for the first experimental group(V.T.R. education) and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average of 7.7100 in the scores of the knowledge scale for the second experimental group.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average score, it can

be said that there was more improvement in the second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first experimental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average scores. Therefore, this hypothesis was not supported. ( t=-1.12,

p>.05)

5. The fourth hypothesis, "the scores of the attitude scale of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given a teacher's explanation on the content of the slide presentation will be higher than that of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educated only through the video presentation" was not supported. The difference in the average score was 1.4242 for the first experimental group (V.T.R. education), and the difference in the average score was 2.8500 for the second experimental group(slide educa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of average scores, the second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change in the attitude scal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scores( t=-1.62, p>.05). Therefore, the fourth hypothesis was not supported.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 educationnal aids on drug use are said to be effective enough to improve the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drug use, however the aids only caused a meaningful change only in the knowledge of drug use. As far

as the effects of the different educational approaches are concerned, the first experimental group(V.T.R. education) showed more improvement than the second group(slide education) in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drug use. Although V.T.R.

education can be said to be more effective, but it is clear that the intervention of the teacher during the regular classes can improve the education effects.

Hence comes the urgent necessity of the re-education of teachers about effective teaching methods and drug use so that the right decision can be made by students about drug use and health maintenance. Meaningful drug education can be done during

the regular classes.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5345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511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