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657

Cited 0 times in

당뇨병 환자에서 자기자극에 의한 운동유발전위

Other Titles
 Magnetic motor evoked potential in diabetic patients 
Authors
 곽용태 
Issue Date
1993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당뇨병은 말초신경병증의 가장 흔한 원인일 뿐 아니라 뇌졸증의 중요한 위험인자라는 사실은 이미 잘 알려져 있으며 부검이나 체감각유발전위검사상 특별한 임상증상이 없는 척수병변도 드물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당뇨병에서 중추신경계의 하행운

동전달경로가 침범되는지에 대하여는 아직 잘 모르는데 그 가장 큰 요인은 마땅한 검사방법이 없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최근 운동신경계의 전달경로를 검사하기 위하여 임상에서 이용하고 있는 자기자극 운동유발전위검사(MMEP)로 당뇨병에서 불현성 중추신경계 하행운동신경경로에 기능장애가 있는지를 관찰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연세의료원 세브란스병원에서 당뇨병으로 진단된 59명의 환자로서 이를 신경전도검사상 이상이 있는 군(36명), 이상이 없는 군(23명)으로 나누어 31명의 정상 대조군과 MMEP 검사결

과를 비교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두정부 자기자극으로 유발된 손근육(짧은엄지외향근; abductor pollicis brevis muscle) 및 발근육(엄지외향근; abductor hallucis muscle)의 운동전위 잠복기는 정상군과 당뇨병군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정상대조군, 신경전도검사상 정상인 당뇨병군, 신경전도겅사상 이상이 있는 당뇨병군의 순위로 잠복기가 지연되는 경향이 있다.

2. 제7경추부 및 요추부 자극에 의한 말초잠복기도 정상군, 신경전도검사상 정상인 당뇨병군, 신경전도검사상 이상이 있는 당뇨병군의 순으로 지연되었다.

3. 그러나 중추운동신경전달경로로 생각되는 central motor conduction time(CMCT: cortex-cervical, cortex-lumbar)은 세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당뇨병에서 나타나는 MMEP 잠복기의 지연은 말초신경의 기능장애 때문이라고 생각하였으며 MMEP의 임상적응은 운동전달경로의 여러 부위를 자극하고 구획별로 판정하여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영문]

Diabetes mellitus is the most common cause of the peripheral neuropathy and an important risk factor of the cerebrovascular disease. There are also several case reports of the diabetic myelopathy, and it has been known that the incidence of cord involvement is not rare on autopsy and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 studies.

Compared to the ascending sensory pathway, it is not clear whether the central descending motor pathway is involved or not in diabetic patients, probably because of the lack of the clinically useful noninvasive methods for the pathways.

To determine the functional derangement of central descending motor pathway in diabetes, 59 cases of diabetes were studied with the magnetic motor evoked potential(MMEP) study. The diabetic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nerve conduction study(23 with normal and 36 with abnormal nerve conduction studies) and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31 nermal control cas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t each stimulated point,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latencies of MMEPs between normal control and diabetic groups with the tendency of more prolonged latencies in the diabetic patients compared with abnormal nerve

conduction studies.

2.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peripheral conduction time(the latency between C7 area and hand muscle, lumbar area and foot muscle) is also significantly prolonged in diabetic patients; He group of normal nerve conduction studies and the

group of abnormal nerve conduction studies in order.

3. However,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calculated central motor conduction time(vertex latency-cervical latency for upper extremity and vertex latency-lumbar latency for lower extremity) among three groups.

In conclusion, this result means that prolonged latencies of MMEPs in diabetes may be due to peripheral neuropathy rather than dysfunction of central motor pathway. Therefore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MMEP has to be decided segmentally rather than by simple determination of the latency.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4825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507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