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419

Cited 0 times in

신경결손에서 이식정맥내 신경절편이 신경재생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isolated nerve segment in grafted vein on nerve regeneration 
Authors
 곽동열 
Issue Date
1988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신경절편이 말초신경 재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흰쥐를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실험군(A)에서는, 한쪽에서 14mm의 대퇴신경을 제거하고 그 간격을 반대쪽에서 얻은 대

퇴정맥으로 연결하였고 실험군(B )에서는, 연결한 대퇴정맥 중앙에 2mm의 대퇴신경절편을

삽입하였다.

수술하고 3개월 후에 재생된 대퇴신경 섬유의 근위단과 원위단을 formaldehyde와 gluta

raldehyde혼합액 (인산염 완충액, pH7.4)으로 고정한 후 2% OsO^^4 완충액에 침투시키고

소정양식에 의하여 탈수시킨 후 Epon에 포매하여 1μm두께로 잘라 표본제작 하였다.

제작된 표본을 광학 현미경으로(1000배) 관찰하였고 이를 microfilm으로 촬영하여 2배

로 확대하여 인화한 다음, 근위단과 원위단에서 축삭의 수, 수초두께, 축삭의 직경 및 횡

단 면적과 신경섬유의 전체직경을 측정하였다.

모든 계측치를 SPSS package program을 이용해서 computer로 처리 분석하여 다음과 같

은 결과를 얻었다.

1. 실험군(A)에 비해 실험군(B)에서 재생된 신경섬유의 조밀도가 높았다.

2. 실험군(A)에 비해 실험군(B)에서 축삭의 수, 축삭의 직경 및 횡단면적, 신경섬유의

전체 직경이 증가하였다.

3. 수초의 두께는 실험군(A)와 실험군(B)에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광범위한 신경결손이 있을 경우 정맥이식을 실시하고 그 중

앙에 신경절편을 삽입하는 것이 단순히 정맥이식을 실시하는 것보다 신경재생을 더욱 잘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Ⅰ. 서론

말초신경 결손은 자가신경 이식에 의해 정상적으로 복구될 수 있으나 최근 신경재생에

대한 활발한 연구를 통하여 공여부의 장애를 초래하는 자가신경대신 Vein (Chiu등, 1982

), preformed mesothelial chamber (Danielsen등, 1983 ), empty perineural tubes (Rest

repo등, 1983 ), Silicone tubing (Lundborg등, 1982), Synthetic biodegradable guides

(Seckel등, 1984)등을 이용한 신경재생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조직의 특수성이나 사용

된 물질에 관계없이 유사한 결과를 얻게 되었다.

그러나 10mm의 신경간격은 재생되는 신경섬유에 의해 복구될 수 있는 임계거리로 알려

져왔고 그 이상의 광범위한 신경결손은 신경재생에 의해 복구될 수 없다고 주장해왔다(Da

nielsen등, 1983: Seckel등, 1984).

일반적으로 신경결손시 근위단에서 신경재생이 이루어지는데 이는 원위단에서 분비되는

neuronotrophic factor의 자극효과에 의존하고 이러한 원위단으로 부터의 자극효과는 신

경간격이 10mm이상일 때는 효과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고 알려져왔다(Danielsen등,

1983: Lundborg등, 1981).

그러나 흰쥐에서 14mm의 광범위한 신경결손을 복구하는데 있어서 정맥이식을 실시하고

이식한 정맥의 중앙에 자가신경 절편을 삽입함으로서 정상적인 신경재생이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광학 현미경 소견을 통하여 증명한 바 있다(Smahel, 1986).

이에 저자는 백서에서 광범위한 신경결손을 복구하기 위하여 이식정맥사이에 자가신경

절편을 삽입한 후 재생된 신경섬유의 광학 현미경적 관찰 및 Computer를 이용한 형태계측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자세히 비교 분석함으로서 이식정맥내 신경절편이 신경재생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좀더 자세히 규명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영문]

An experimental model in rats was used to assess the stimulant effect of an

isolated nerve segment on peripheral nerve regeneration.

In an experimental group (A) of animals, 14mm of the femoral nerve was removed

unilaterally and the gap was bridged with femoral vein taken from the other side.

In an experimental group (B), the intervention differed in that a 2mm nerve

segment was introduced at the center of bridging vein. 3 months after the

operation, proximal and distal stump of the regerated femoral nerve fibers were

fixed in formaldehyde and glutaraldehyde (pH 7.4) and glutaraldehyde fixed tissues

were post-fixed in 2% OsO^^4 solution. After fixation, the tissues were dehydrated

and embedded in Epon and sectioned at approximately 1μm. The sections were

examined under the light microscope (x1000) and micrographs were obtained. The

micrographs were magnified 2 times and the number of axon, the myelin sheath

thicknesses, the axon diameters and it's cross sectioned areas and the whole

diameters of nerve fiber in proximal and distal stumps were measured. All data

analyzed by computer using SPSS package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frequency of regenerated nerve fibers was increased in experimental

group(B) compare to experimental group(A).

2. The number of axon, the axon diameters and it's cross sectioned areas and the

whole diameters of nerve fiber were increased in experimental group(B) compare to

experimental group(A).

3. There were no difference in myelin sheath thickness between experimental

group(B) and experimental group(A).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6072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506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